본문 바로가기

회원

검색

편집부통신

노블엔진 공모전 각 부문에 대한 상세설명.

작성인 : 노블C 조회 : 24,652
안녕하세요.
노블엔진 편집부입니다.

이번 공모전에 단행본 부문이 추가되면서 각 부문의 차이점에 대한 질문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각 부문의 차이점을 간단히 정리해보았습니다.


라이트노벨 부문 : 많은 분들이 알고 계시는 그대로, 10대~20대의 독자층을 메인 타겟으로 하는 광의의 엔터테인먼트 작품을 모집합니다. 장르는 구분하지 않으며, 한 권의 작품이자 상품으로서 얼마나 높은 완성도를 갖추고 있는지를 중시하고 있습니다.
ex) 엔딩 이후의 세계, 몬스☆패닉, 요희전기 시리즈 등


팝 부문 : '라이트 문예'라는 말로 정의하는 것이 가장 명확할 것 같습니다. 라이트노벨의 장점인 매력적인 캐릭터를 살리면서, 라이트노벨의 기존 독자층만이 아닌 보다 많은 독자들에게 받아들여질 수 있는 대중성을 갖춘 작품을 모집합니다. 작중 세계의 비현실, 환상적 요소는 그리 많지 않거나 절제되어 있습니다.
ex) 흐리거나 비 아니면 호우, 유랑화사, 만능감정사 Q의 사건수첩, 3일 간의 행복 등
참고) 일본 미디어웍스 문고, 신초 NEX 문고 등


단행본 부문 : '캐릭터가 심화된 장르소설'이라는 말로 정의하는 것이 가장 명확할 것 같습니다. 라이트노벨의 장점인 캐릭터를 살리면서, 기존 장르(판타지, 무협, SF 등)의 매력을 깊게 추구한 작품을 모집합니다. 단권 중심의 서사로는 매력을 살리기 어려웠던 장편 시리즈나, 라이트노벨의 메인 독자층보다 넓은 연령층을 노리는 작품이라면 단행본 부문에 투고하여 주세요.
ex) 오버로드, 방패 용사 성공담, 앨리스 드라이브 등.
참고) 엔터브레인 단행본, MF북스 등


각각의 부문이 완벽하게 동떨어져 있는 것은 아닙니다. 라이트노벨은 굉장히 넓은 범위를 포괄하므로, 팝이나 단행본 부문으로 발매된 작품을 라이트노벨로 부르는 것도 그리 어색한 것은 아닙니다. 본래 이런 구분은 다소 느슨할 수 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기존 출간작들을 참조하시어 자신의 작품이 어떤 레이블로 발매되는 것이 적합할지에 대해 고민하신 후 투고하여 주세요.

감사합니다.
Olive 15-01-20 19:10
라이트노벨 부문: 연령층-10대~20대, 단권완결성-상, 모에-상

팝 부문: 연령층-포괄적 범위, 단결완결성-상, 모에- 중요친않음

단행본 부문: 연령층 포괄적 범위, 단권완결성-중or하, 모에-필요만큼

같은 느낌이려나요?
노블C 15-01-21 11:03
모에(..)는 어디까지나 캐릭터를 연출하는 방법 중 하나일 뿐이므로, 그에 대한 부분을 제외하면 대략적으로 맞다고 생각하셔도 될 것 같습니다.
눈시울 15-01-20 21:45
단행본 부문 명칭은 미스가 아닌가 싶습니다. 연재만화가 잡지에서 연재되다가 단행본화되듯 인터넷 연재소설이 단행본화되는 걸 겨냥한 것 같은데, 다른 부문과 비교할 때 다른 부문의 출판 형식 역시도 '단행본'이지 않습니까.

그렇다고 해서 단행본의 다른 의미인 '단권', '단일본'으로 보면 이건 기존 라이트노벨 부문이나 팝 부문에 해당하는 것으로 오히려 노엔이 내세운 '단행본 부문'에는 맞아떨어지지 않죠.

차라리 노블엔진팝처럼 브랜드 내지는 레이블을 신설하여 그 명칭을 공모전 부문 명칭으로 바꾸는 게 좋을 듯합니다.
노블C 15-01-21 11:11
현재로서는 별도의 레이블화 계획은 없습니다. 경우에 따라 장정이나 판형 등 다양한 형태를 띨 수 있는 분야이기 때문에, 특정한 레이블로 묶기가 다소 어려운 감이 있기 때문입니다. 일본 엔터브레인 사에서 나오는 단행본(국내에는 오버로드나 마법소녀금지법, 로그 호라이즌 등이 정발되어 있습니다)이 특별한 레이블을 갖지 않고 나오는 것과 유사하다고 생각해주세요.
NerCafel 15-01-20 22:51
아, 물어볼까 했더니 여기 올라와 있군요. 참고하겠습니다.
NerCafel 15-01-20 22:53
질문입니다. 아직 유랑화사 등의 팝 부문 작품을 읽어보지 못해서 잘 모르겠는데
팝이나 단행본에도 삽화는 들어가는 건가요? 아니면 오로지 라이트노벨에만 삽화가 들어가나요?
노블C 15-01-21 11:14
경우에 따라 다릅니다.
라이트노벨에는 확실히 포함되고, 팝과 단행본은 작품의 특성에 따라 달라집니다.
김민우 15-01-21 12:09
방패용사 아직 발매 예정 없습니까?
음흠흠 15-01-21 23:45
음 단행본은 장르소설 같은 느낌 그런거려나요?
노블C 15-01-22 13:56
캐릭터의 매력을 보다 심화한 장르소설이라고 생각해 주세요. ^^
유시로 15-01-23 04:03
단행본 부문에는 단권완결박을 투고할 수 없는 건가요?
노블C 15-01-23 14:56
상관없습니다.
검악귀 15-01-25 03:05
단행본에 관해서 질문인데요

단행본은 캐릭터가 심화된 장르소설이라 쓰고 있지만, 대신 배경이나 사회가 심화되어도 상관은 없는 건가요?

단지 표현적으로 심화가 되는 부분이 배경이 1순위고, 캐릭터가 2순위라는 점만 있을 뿐?
노블C 15-01-29 13:13
어떤 작품을 쓰시건, 캐릭터의 매력이 충분히 뒷받침되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ssDEATHNOTEs… 15-01-28 21:14
시리즈 시놉시스를 적을 때, 자기가 생각한 권수 만큼의 시놉시스를 적어야 하나요.
아니면 비슷한 내용의 시리즈끼리 묶어서 시놉시스를 적어야 하나요.
1권 다음에 2권 이후~ 같은 경우에는 정확히 2권 이후의 상황을 정리하라는 말인가요. 아니면 만약의 2권의 시놉시스를 정리하라는 말인가요.
밑에 X권 이후~ 같은 경우에는 추가해서 쓰라는 뜻인가요. 아니면 2권 이후의 모든 내용을 간략하라는 말인가요?
조금 긴 질문 죄송합니다.
노블C 15-01-29 13:16
단행본 기획서의 '시리즈 시놉시스' 부분에 대한 질문이겠죠?

2권 이후의 상황을 편한 방식으로 정리해 주시면 됩니다. 2권, 3권, 4권 하는 식으로 정리하셔도 괜찮고, 2부(2~4권) 하는 식으로 정리하셔도 상관없으며, 2권 이후 시리즈 종료까지 정리하셔도 문제 없습니다.
072507 15-02-28 01:36
이 공모전은 1권 안에 내용을 끝내야 된다면... 궁금한 점이 있는데...
당시 엔딩 이후의 세계나 몬스 패닉, 그리고 요희전기 시리즈는 1권 안에 내용이 끝나서 당선된 건가요?
노블C 15-03-02 10:37
당선 이후 시리즈화를 염두에 두고 이런저런 복선이 추가되는 경우가 있습니다만, 말씀하신 작품들은 1권에서 벌어진 사건에 대해서 잘 마무리하고 정리하고 있습니다.
짜장같은짜장 15-05-20 08:43
혹시 라노벨 부분에서 떨어졌는데 중간발표가 없는 단행본이나 팝 부분에 더 어울릴 것 같다는 이유로 그 부분에서 심사되고 있다거나.......가능한 일인가요? 바쁘신데 죄송합니다.
노블C 15-05-20 14:59
아니오. 그런 경우는 없습니다.

목록 로그인 PC버전

이용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 Copyright 2011 novel engin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