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내용은 일본의 <라이트노벨 작법 연구소: http://www.raitonoveru.jp>의 컨텐츠를 번역한 것임을 미리 알려드립니다
재능에 관한 정리
・재능이란 ‘욕구’ ‘성장’ ‘실적’의 삼요소로 성립됩니다.
‘욕구’그 대상을 좋아하는가?
‘성장’그 대상을 잘 하는가?
‘실적’눈에 보이는 결과를 남겼는가?
삼요소의 관계
‘욕구’가 있으면 ‘실적’을 만들기 위해 ‘성장’할 수 있습니다.
‘실적’을 만들어 ‘성장’하면 쾌감을 얻을 수 있고, 다음 ‘욕구’로 연결됩니다.
이 순환에 의해 보다 높은 성장을 이루어 커다란 실적으로 발전합니다.
이 사이클을 망가뜨리지 않고 계속 유지 해 나가는 것이 재능을 키운다는 것입니다.
이 이외의 방법으로 재능을 키우려고 하는 노력은 시간과 돈의 낭비입니다.
예를 들어 일시적으로 성장 했다 하더라도 그것은 어쩌다 그렇게 된 것이지 정말로 실력이 늘지는 않은 것이라서 일과성의 성공으로 끝나게 됩니다.
편하고 빠르게 성장하고 싶다는 바람의 뒤에는 대상에 대한 ‘욕구’의 결여(사실은 소설을 쓰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열등감(아무튼 지금 바로 내 가치를 인정 해 줘)이 있습니다.
[욕구에 관한 것]
・재능의 삼요소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욕구’입니다.
욕구가 없으면 애초에 창작을 하지 않기 때문에 ‘실적’도 없을 뿐더러 ‘성장’도 하지 않습니다.
・욕구가 없어진 상태를 ‘재능이 고갈된’ ‘슬럼프’등으로 부릅니다.
・명성을 추구하면 실패에 대한 공포가 강해지기 때문에 창조성을 잃어버립니다.
인간은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하는 욕구보다 다른 사람으로부터 칭찬받고 싶다는 욕구가 강하므로 조심합시다.
・신인상을 수상한 사람은 매일 세 시간은 집필에 시간을 냅니다.
[성장에 관한 것]
・성장하기 위해 가장 좋은 훈련 방법은 장편 소설을 많이 완결 시키는 것입니다.
・재능을 꽃피우기 위해 필요한 훈련 시간은 최소한 ‘1만 시간’입니다.
・결점을 고치기보다 장점을 살리는 편이 성공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독자의 비판이나 감상에 화를 내면 성장할 수 없습니다. 성장에는 안정된 자아가 필요합니다.
[실적에 관하여]
・실적은 질보다 양입니다. 한 편의 걸작을 만들기보다는 백 편의 범작을 완성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는 편이 그 과정에서 성장하고, 결과적으로 걸작을 남기기 쉽게 됩니다.
・자신을 매일, 진지하게 창작하지 않으면 안되는 환경으로 몰아넣으면 걸작을 만들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실패작도 실적의 하나입니다. 실패를 하는 것으로 성장하게 됩니다.
・인터넷 상에서 우수한 저자를 찾는다면 장편 소설을 많이 완결 시킨 사람을 찾는 것이 좋습니다.
[재능이 있는 사람의 특징]
・정신을 차려보니 매일 소설을 쓰고 있는 사람. 일상 생활중에서 집필의 우선순위가 높은 사람.
・소설을 쓰는 것이 무엇보다 즐거우며 집필을 고통이라 느끼지 않는 사람.
・매일 소설을 쓰다 보니 어느새 데뷔를 하고, 데뷔 후에도 마찬가지로 계속 쓰는 사람.
(작가가 출판 업계에서 사라지는 것은 집필을 하지 않게 된 것이 가장 큰 원인)
[재능이 없는 사람의 특징]
・소설을 쓰지 않는 사람. 일상 생활중에서 집필의 우선 순위가 낮은 사람.
・독자를 즐겁게 하는 것보다 세상에 자신의 위대함을 인정받고 싶어하는 것에 열중하는 사람.
・데뷔 할 수 없다면 소설을 쓸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 소설을 쓰는 것이 사실은 고통인 사람입니다.
・책을 내는 것이 최고의 목표인 사람. 한 권 내면 의욕이 사라져버립니다.
・소설을 쓰는 것을 좋아하지 않지만 베스트 셀러 작가는 되고 싶다는 욕구를 가진 사람. 편하게 성공 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 시간과 돈을 낭비하고 결국 아무것도 이루지 못한 채 인생을 끝내게 됩니다.
*게시글의 내용에 대한 저작권은 일본의 <라이트노벨 작법 연구소http://www.raitonoveru.jp>가 가지고 있으며 번역물에 대한 권리는 노블엔진이 가지고 있으므로 상업적으로 이용할 수 없으며, 복사를 해서 개인 사이트나 카페 등에서 이용할 수도 없음을 미리 말씀드립니다. 그러나 링크를 걸어서 본 내용과 연결해두는 것은 상관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