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서브컬쳐 작품의 저작권 관리는 엄밀화되어서 예전에는 허용되었던 회색 지역이 법률 위반으로 해석되게 되었습니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저작권에 대해 무지한 신인 작가가 섣부른 인식으로 기존 작품을 참고하다 작품의 절판, 회수라는 최악의 결과가 되는 사건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습니다.
인터넷에서 소설을 발표하는 경우에도 알아 두는 편이 좋은 것이 저작권에 관한 것입니다.
쓸데 없는 트러블에 휘말리지 않기 위해서 저작권에 관하여서는 알아둡시다._?xml_: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라이트노벨 작가를 둘러싼 저작권 문제의 배경
저작권 침해로 신인 작가가 데뷔와 동시에 사라지는 사건이 종종 일어나며 어디까지가 표절인가? 하는 불안이 작가 지망생들 사이에서 퍼지고 있습니다.
인터넷의 발달로 인해 작품의 검증 및 저작권 침해 고발을 하는 소람이 폭발적으로 늘었다는 것.
구글이나 니코니코 동화 등의 신흥 기업 서비스가 저작권 비즈니스의 기득 권익의 일부를 파괴 한 것.
저작권 개념에 아랑곳 하지 않는 중국이 경제 발전을 하면서 국제 사회에서 커다란 영향력을 가지게 된 것.
등으로 인해 저작권은 크게 변하고 있습니다.
저작권 침해 문제가 일어나면 출판사는
편집부로서도 강하게 책임을 느끼며 앞으로 신인 작가의 도덕심 향상, 작가 육성을 포함하여 재발 방지에 힘쓰겠습니다.
등의 사죄 문을 냅니다만, 실제로 편집자는 방대한 업무 때문에 한 사람, 한 사람의 작가 육성이나 교육 등은 도저히 할 여유가 없습니다.
무엇보다도 변해가는 저작권 개념에 관하여 편집자도 모두를 이해하고 있는 것이 아닙니다.
때문에 젊은 작가 중에는 저작권에 관하여 제대로 된 인식을 가지지 않은 채 데뷔하고, 쉽게 다른 작품을 참고하다 파멸하는 길을 걷는 사람이 눈에 띄게 되었습니다.
저작권에 관한 공부는 자신을 지키기 위해 최소한으로 해두어야 할 것입니다.
여기서는 현대의 저작권에 관해 연구해보고자 합니다.
표절 소동이 늘어난 4가지 이유
1?인터넷의 발달로 작품 검증에 참가하고 이의를 제기하는 사람의 수가 폭발적으로 늘었다.
2?누적된 판례로 인해 블랙 존이 증대.
3?저작권 법으로 보호되는 저작물이 매 년 점점 늘고 있다.(줄지 않음)
4?신인 작가의 저작권 의식 저하.(인터넷상에서의 느슨한 저작권 관리에 너무 익숙해져 있다)
표절의 경계선
1.유명 작품과의 유사점은 표절 의혹으로 발전할 위험이 높다.
2.신화나 전설, 동화를 베끼는 것은 허용된다.(저작권이 없기 때문. 디즈니 애니메이션이 좋은 예)
3.실존하는 인물이나 실제로 일어난 사건을 모티브로 하는 것은 허용된다.(창작물이 아니기 때문)
4.스토리, 캐릭터, 세계관의 3요소 중 두 개가 겹치면 위험.
5.문장을 그대로 쓰는 것은 표절이다.
6.표절 의혹을 받는 것은 작가가 품고 있는 경험이나 생각이 작은 것이 원인.(일부의 작품에서 영향을 받는다)
*게시글의 내용에 대한 저작권은 일본의 <라이트노벨 작법 연구소http://www.raitonoveru.jp>가 가지고 있으며 번역물에 대한 권리는 노블엔진이 가지고 있으므로 상업적으로 이용할 수 없으며, 복사를 해서 개인 사이트나 카페 등에서 이용할 수도 없음을 미리 말씀드립니다. 그러나 링크를 걸어서 본 내용과 연결해두는 것은 상관없습니다.